일상 속 숨은 과학

횟집의 신선함과 오래된 생선의 비린내: 생선 비린내, 단백질 분해와 TMAO의 과학적 비밀 탐구

Black Watson 2025. 10. 23. 20:00

신선한 바다 향기와 비린내, 이 미묘한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 '블랙홀 지식 탐구소'에서 생선 비린내의 주범인 TMA(트리메틸아민)가 TMAO(트리메틸아민옥사이드)로부터 생성되는 과학적 과정을 파헤칩니다. 생선이 죽은 후 단백질 및 아미노산 분해가 비린내를 유발하는 메커니즘과 신선도 유지를 위한 보관 과학까지 밝혀드립니다.

갓 잡은 신선한 생선회에서는 바다의 향긋함이 느껴지지만,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코를 찌푸리게 하는 불쾌한 비린내가 나기 시작합니다. 왜 어떤 생선은 비린내가 덜하고 어떤 생선은 유난히 심한 비린내가 날까요? 그리고 이 비린내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블랙홀 지식 탐구소'에서는 생선 비린내의 과학적 원인을 탐구하고, 왜 생선이 다른 육류보다 빨리 상하고 특유의 냄새를 풍기는지 그 비밀을 파헤쳐보고자 합니다. '왜 그럴까?'라는 순수한 호기심 하나만으로 '블랙홀 지식 탐구소'의 문을 두드려주십시오.

생선 비린내의 주범: TMAO와 TMA의 변신

생선 비린내의 핵심 물질은 바로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TMA)**입니다. 이 TMA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이해하면 생선 비린내의 과학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신선한 생선의 TMAO: 바닷물고기들은 체내 삼투압 조절을 위해 **트리메틸아민옥사이드(Trimethylamine N-oxide, TMAO)**라는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TMAO는 무색, 무취의 물질이며, 오히려 생선 살에 미묘한 감칠맛을 더하는 역할도 합니다. 즉, 신선한 생선에서는 비린내가 나지 않습니다.
  2. 부패균의 활약: TMA 생성: 생선이 죽은 후 시간이 지나면서 생선 표면에 있는 박테리아(특히 슈도모나스, 사이크로박터 등의 저온성 세균)는 TMAO를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TMAO 환원효소가 작용하여 TMAO에서 산소를 떼어내고, 그 결과 불쾌한 **TMA(트리메틸아민)**를 생성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비린내'라고 느끼는 냄새의 주범입니다. 냉장고 음식이 빨리 상하는 미생물학적 과학 원리에서도 언급했듯이, 저온성 세균은 냉장고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기 때문에 생선은 냉장고에서도 비교적 빨리 비린내가 나기 시작합니다.

비린내의 강도와 어종의 차이: 육지 생선은 왜 덜 비릴까?

TMAO는 바닷물고기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민물고기는 바닷물고기처럼 삼투압 조절을 위해 TMAO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함유량이 적거나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민물고기는 바닷물고기보다 비린내가 덜하거나 종류에 따라 아예 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린내의 강도는 어종별 TMAO 함량과 사후 미생물 활동에 따라 달라지는데, TMAO 함량이 높은 고등어, 꽁치, 전갱이 같은 등푸른생선은 비린내가 특히 심한 편입니다.

생선 비린내를 가속화하는 단백질 및 아미노산 분해

TMA 외에도 생선 비린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되는 생선 자체의 화학적 변화에 의해서도 강화됩니다.

  1. 단백질 분해: 생선이 죽으면 자체 효소와 미생물에 의해 근육 단백질이 분해되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휘발성 아민류, 황화수소(계란 썩는 냄새), 암모니아 등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는 다양한 물질들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분해 산물들은 TMA와 결합하여 비린내를 더욱 복합적이고 불쾌하게 만듭니다.
  2. 지방의 산패: 등푸른생선에 많은 불포화지방산은 산소와 쉽게 반응하여 산패됩니다. 지방이 산패되면 특유의 산화취(酸化臭)를 내며, 이 또한 비린내에 일조합니다.

비린내를 잡는 과학적 방법: 산과 지방

생선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줄이는 방법들은 대부분 TMA의 화학적 특성을 이용합니다.

  1. 산(Acid) 성분의 활용:
    • TMA는 염기성(알칼리성) 물질입니다. 산성 물질과 만나면 TMA는 냄새가 나지 않는 염으로 변합니다. 레몬즙, 식초, 와인 등을 생선에 뿌리거나 재우는 것은 TMA를 중화시켜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방법입니다.
    • 음식이 식으면 맛이 변하는 이유에서 보듯이, 이러한 첨가물이 온도 변화에 따른 맛 변화에도 영향을 미 미치며, 비린내를 억제하여 전체적인 풍미를 개선합니다.
  2. 지방/유제품의 활용:
    • 생선 비린내는 지방에 잘 용해됩니다. 우유에 생선을 담가두거나 버터, 식용유 등을 사용하여 요리하면 비린내 성분이 지방에 흡수되어 냄새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향신 채소의 활용:
    • 생강, 마늘, 파 등 향이 강한 채소는 TMA를 직접적으로 중화하지는 않지만, 자체의 강한 향으로 비린내를 덮거나 냄새의 인지를 방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생강의 진저론이나 쇼가올 같은 성분은 비린내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4. 신선도 유지가 가장 중요:
    • 궁극적으로 비린내를 최소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신선한 생선을 구매하고, 조리하기 전까지 최대한 낮은 온도에서 공기 접촉을 피해 보관하는 것입니다.

마무리하며: 비린내 뒤에 숨겨진 생존의 과학

생선 비린내는 단순히 불쾌한 냄새가 아니라, 생선이 죽은 후 체내 TMAO가 미생물에 의해 TMA로 변하는 복잡한 화학 반응과 단백질 분해 과정이 만들어내는 '일상 속 숨은 과학'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생존을 위해 발달했던 체내 물질이 죽음 이후에는 새로운 형태의 유기물로 분해되는 자연의 순환을 보여줍니다. 비린내의 과학을 이해하면 우리는 더 맛있고 건강하게 생선을 즐길 수 있습니다.

 

'블랙홀 지식 탐구소'와 함께 알아본 생선 비린내의 비밀이 Black Watson님의 식생활에 유익한 통찰을 더했기를 바랍니다. '왜 그럴까?'라는 순수한 호기심 하나만으로 '블랙홀 지식 탐구소'의 문을 두드려주십시오.